LH 생활돌봄서비스 확대, 고령사회를 위한 주거와 돌봄의 연결

LH의 생활돌봄서비스 확대, 초고령사회 대응 전략과 신청 방법, 현장 사례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안전한 노후 준비 필수 정보!

 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5년 이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며, 생활 안전과 주거 안정을 동시에 보장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에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생활돌봄서비스를 강화하고 확대 적용하여, 고령 인구가 보다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비스 확대 내용, 신청 방법, 현장 변화, 해외사례 비교, 향후 과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생활돌봄서비스, 무엇이 확대되었나

LH는 2025년 7월 발표에서 기존 국민임대·매입임대주택 위주로 운영되던 생활돌봄서비스를 전세임대주택까지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새롭게 배치되는 생활돌보미는 약 350명이며, 이를 통해 약 3,500세대 이상의 홀몸 어르신에게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정기적인 안부 확인 및 안전 점검
  • 복지 서비스 연계 및 생활 지원
  • 응급 상황 조기 발견 및 보건소·병원 연계

단순한 일회성 방문이 아니라, 정기적·체계적 관리가 핵심입니다. 이는 고령자의 주거 공간이 곧 안전망이 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현장에서의 변화 — 작은 방문의 힘

생활돌보미의 방문은 단순히 가스·전기 점검이나 말벗에 그치지 않습니다. 반복되는 접촉은 곧 위험 조기 발견으로 이어지며, 큰 사고를 예방합니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생활돌봄 덕분에 어르신의 건강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병원 치료로 이어진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은 방문은 고독을 완화하고, 어르신의 일상에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도 합니다. “작은 만남이 하루를 지킨다”는 말이 현장에서 실감나게 다가옵니다.

왜 지금 이 사업이 중요한가

의료기관이나 요양시설 중심의 돌봄은 일상 속의 작은 위험까지 포괄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이동이 불편하거나 사회적 관계망이 약한 어르신들에게는 정기적인 방문 돌봄이 삶의 질을 좌우합니다.

LH의 서비스 강화는 '주거'와 '돌봄'을 연결하여, 공공임대주택이 단순한 거주공간을 넘어 사회적 안전망으로 기능하게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해외 사례와의 비교

고령화가 앞선 국가들은 이미 주거 기반 돌봄 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영국 – 'Housing with Care' 모델: 주거 공급자가 돌봄 서비스를 공적 네트워크와 연결
  • 일본 – 지자체와 민간이 협력해 지역사회 중심의 방문 돌봄 체계 운영

LH의 생활돌봄서비스 확대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과 궤를 같이하며, 한국형 돌봄 모델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신청 안내 및 담당 문의

생활돌봄서비스를 신청하거나 문의할 때는 아래 정보를 참고하세요.

항목 담당자 연락처
책임자 (팀장) 김성모 (주거복지계획처) 055-922-3302
담당자 (차장) 김성은
온라인문의 LH 뉴스룸 게시판 또는 LH 고객센터

참여 방법과 지원 팁

  • LH 홈페이지 ‘뉴스룸’ 또는 ‘복지·주거 안내’에서 신청 공지를 확인하세요.
  • 지역 노인일자리센터 및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공고도 함께 살펴보면 유리합니다.
  • 비상 연락처·복용 약 목록·평소 생활 패턴을 미리 준비하면 원활한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됩니다.

현장 목소리

한 생활돌보미는 “처음엔 작은 도움이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어르신의 생활에 긍정적 변화가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른 돌보미는 “이 일은 단순한 일자리가 아니라, 누군가의 하루를 지키는 소중한 역할”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정책 효과를 수치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삶에서 체감되는 변화임을 보여줍니다.

향후 과제와 발전 방향

이번 확대는 시작에 불과합니다. 앞으로는 예산 지속성, 지역 간 서비스 격차 해소, 전문 인력 양성, ICT 활용, AI 기반 예측 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합니다.

  • 지속 가능한 예산 확보
  • 지역별 서비스 격차 해소
  • 전문성 있는 생활돌보미 교육 강화
  • ICT·AI 기반 원격 모니터링 도입
  • 민간 자원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와의 협력

맺음말

생활돌봄서비스 강화는 단순한 숫자의 확대가 아닙니다. 그것은 누군가의 일상을 지키는 구체적인 변화이며, 사회적 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만드는 과정입니다. 제도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LH와 정부뿐 아니라, 가족·이웃·지역사회의 작은 관심이 함께해야 합니다. 주변을 살피는 일상의 작은 행동이 곧 사회적 변화의 출발점이 됩니다.

출처: LH 보도자료(2025-07-10),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공고(2025-06-18), 통계청 고령인구 현황

댓글 쓰기